ez_x5보드 에 대해 첫번째 글
보드 구성
1. MCU - Intel pxa255-400(ARM10)
2. RAM - 64Mbytes SDRAM
3. ROM - 1. 512Kbytes Boot flash, 2. 64Mbytes NAND Flash
4. Serial - RS-232C 3port
5. Ethernet - CS 8900 10 - Mbps
6. USB
7. Touch
8. LCD - 640 x 480 TTL port
맥북의 Terminal 을 이용하여 ez-x5보드와 첫 연결을 하였다.
맥북에는 serial 포트가 없어서 usbserial 케이블을 이용하였다.
usbserial 드라이버는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맥용 드라이버를 설치하였다.
http://serialio.com/products/adaptors/usb_serial.php
Terminal실행 후 screen 명령어를 사용하고 Baud rate 115200 으로 연결 시도 접속 성공 하였다.
첫번째 목표는 아직 정하지 않았다. 책을 좀 보고 보드에 대해서 간략하게나마 파악 한 후
목표를 정하자. 그럼 오늘은 이만..ㅋ
보드 구성
1. MCU - Intel pxa255-400(ARM10)
2. RAM - 64Mbytes SDRAM
3. ROM - 1. 512Kbytes Boot flash, 2. 64Mbytes NAND Flash
4. Serial - RS-232C 3port
5. Ethernet - CS 8900 10 - Mbps
6. USB
7. Touch
8. LCD - 640 x 480 TTL port
맥북의 Terminal 을 이용하여 ez-x5보드와 첫 연결을 하였다.
맥북에는 serial 포트가 없어서 usbserial 케이블을 이용하였다.
usbserial 드라이버는 아래의 홈페이지에서 맥용 드라이버를 설치하였다.
http://serialio.com/products/adaptors/usb_serial.php
Terminal실행 후 screen 명령어를 사용하고 Baud rate 115200 으로 연결 시도 접속 성공 하였다.
첫번째 목표는 아직 정하지 않았다. 책을 좀 보고 보드에 대해서 간략하게나마 파악 한 후
목표를 정하자. 그럼 오늘은 이만..ㅋ
반응형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VIM_사용기_1 (0) | 2009.01.17 |
---|---|
Debian_1 (0) | 2009.01.17 |
MACBOOK의 슬립 모드 & 하이버네이션 기능 (0) | 2008.11.10 |
SCM (Source Code Management) (0) | 2008.11.08 |
문자 코드에 대하여 (0) | 2008.11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