비주얼스튜디오를 이용 시 간단한 팁을 소개 합니다.
win32프로그래밍 시에는 console 윈도우가 없습니다. 그래서 간단한 디버그를 위해
printf 문이나 cout을 쓸수가 없죠. 확인할 수 없어서.
하지만 아래와 같이 한 줄을 적어주면 console 윈도우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.ㅋㅋ
#pragma comment(linker, "/entry:mainCRTStartup /subsystem:console" )
주의할 부분은 mainCRTStartup 부분 입니다. 그 이유는 entry 함수를 적어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.
저 같은 경우는 main()를 호출 하고 있어서 entry 부분을 mainCRTStartup 이라고 위와 같이 적었습니다.
그런데 WinMain ()을 호출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WinMainCRTStartup을 적어 주어야 합니다.
#pragma comment(linker, "/entry:WinMainCRTStartup /subsystem:console" )
그렇게 해야 자기자신에 맞는 entry로 진입하게 되고 출력을 위한 포인터도 정의 됩니다.

win32프로그래밍 시에는 console 윈도우가 없습니다. 그래서 간단한 디버그를 위해
printf 문이나 cout을 쓸수가 없죠. 확인할 수 없어서.
하지만 아래와 같이 한 줄을 적어주면 console 윈도우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.ㅋㅋ
#pragma comment(linker, "/entry:mainCRTStartup /subsystem:console" )
주의할 부분은 mainCRTStartup 부분 입니다. 그 이유는 entry 함수를 적어주어야 하기 때문입니다.
저 같은 경우는 main()를 호출 하고 있어서 entry 부분을 mainCRTStartup 이라고 위와 같이 적었습니다.
그런데 WinMain ()을 호출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WinMainCRTStartup을 적어 주어야 합니다.
#pragma comment(linker, "/entry:WinMainCRTStartup /subsystem:console" )
그렇게 해야 자기자신에 맞는 entry로 진입하게 되고 출력을 위한 포인터도 정의 됩니다.

반응형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__cplusplus_2 (0) | 2009.07.23 |
---|---|
__cplusplus_1 (0) | 2009.07.21 |
네트워크 간략 정리 (2) | 2009.03.23 |
EZ_X5_5_minicom이용한 zmodem프로토콜을 통한 파일 전송 문제 시 해결책 (1) | 2009.03.17 |
MB404에 우분투 (ubuntu) 설치 (0) | 2009.03.09 |